티스토리 뷰
목차
디파이의 정의
2019년 부터 DeFi 라는 키워드를 자주 듣게되었다.
요즘 제일 핫한 디파이에 대해 쉽게 알아보자.
DeFi는 "Decentralized Finance"의 약자로,
"분산형 금융" 혹은 "탈중화 금융" 으로 해석할 수 있다.
더쉽게 DeFi를 알려줘
코린이들을 위해 더 쉽게 이야기하자면
내가 가진 가상화폐
( Coin=비트코인(BTC) / 이더리움(ETH) / 리플(XRP) /에이다(ADA) /
스텔라루멘(XLM) / 비트코인캐시(BCH) / 비트코인SV(BSV) /퀀텀(QTUM) /
이오스(EOS) / 트론(TRX) 등
코인을 를 맡기면 이자를 받는다고 생각하면 된다.
은행에 돈을 넣어두면 이자를 받는 것으로 생각하면 쉽다.
DeFi는 구체적으로는 증권, 보험, 파생 상품 등 금융 분야에서
블록 체인을 활용 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구성되는 금융 시스템을 가리킨다.
가상 화폐뿐만 아니라 중앙 관리자를 필요로하지 않고,
분산 형 네트워크에 의한 자율적인 에코 시스템으로
누구나 접근 가능하고 투명한 금융 시스템과 프로젝트를 총칭한다.
defi 시장 규모
현재 프로젝트로는 중앙 관리자가없는 분산형
가상 화폐 교환소(DEX), 가상 통화의 대출, 파생 상품 계약 등이있다.
지금까지의 기사를 보면, DeFi는 주로 이더리움(ETH)의한 프로젝트를 많이 볼 수 있지만,
며칠전 리플의 CTO도 디파이를 화제로 꺼내들기시작했다.
ConsenSys사의 보고서에 따르면 DeFi를 차세대 금융 시스템으로 소개하고 있다.
디파이는 신규 프로젝트 출시가 증가하고 있으며,
ETH 프로젝트 중에서도 성장 분야의 핵심으로으로 주목을 받고있다.
2019 년 7월 시점에서 디파이에 잠긴 Ethereum (ETH)의 합계액이
4억 7800 만 달러에 달해 전년 대비 100 % 이상 증가했다.
DeFi 시장의 90 % 이상은 Maker를 중심으로 구성되어있다.
Maker는 Compound 및 InstaDapp 같은 다른 유력한 DeFi 기반도 연계하고 있으며,
DeFi 의한 금융 분야의 사업 규모가 커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용어가 조금 어려울 수 있어 더 쉽게 설명해 보겠다.
그렇다면 디파이는 모든 암호화폐들이 왜 탐내는 것일까?
그 이유는 간단하다.
DEFI를 하는 이유가 뭐야?
가상 화폐의 가치 상승...가격을 올리는데 그 목적이 있다.
쉽게 리플사를 생각해보자.
리플은 참 계륵 같은 코인이다.
많은 보유자가 버리지도 못하고 물려 있는 경우가 태반이다.
XRP가 돈을 벌기 위해서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그렇다. 가상화폐인 리플을 팔아야 한다.
하지만 가격은 다들 알겠지만 지금 200원 초반에서 중반 사이다.
내가 처음 접한 가격이 600원대다..
나의 매수가가 5-600원 인 셈이다.
암호 화폐의 가격을 올리려면 어찌해야할까?
답은 희소성에 둘 수 있다.
시장에 풀린 코인을 다시 해당 업체가 은행처럼 회수 및 보관하면 이자를 준다.
시장에 코인이 희소성을 띄게 되어 가격 상승이 가능하다.
스테이킹 서비스 또한 마찬가지 이유다.
물론 많은 업체들이 디파이와 스테이킹 서비스를 앞다투어 내놓고 있지만
이 서비스 또한 단점을 갖고 있다.
그건 다음 편에 한 번 다루어 볼까 한다.